본문 바로가기
SNS&블로그팁

구글 서치콘솔, 사이트맵, RSS 등록방법 완벽 가이드

by 피씨랜드 2025. 4. 19.
반응형

구글 서치콘솔, 사이트맵, RSS 등록방법 완벽 가이드

검색엔진에 내 블로그를 제대로 노출시키고 싶다면?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셋업법이 여기 있어요!

안녕하세요! 요즘 블로그를 새로 시작한 분들, 혹은 오랫동안 운영했는데 검색에 잘 안 뜬다고 고민하는 분들 많죠? 저도 처음에 그랬어요. 한참을 글 써도 아무도 안 들어오니까 의욕이 뚝 떨어지더라고요. 그런데 '구글 서치콘솔'을 알고 나서부터 게임이 완전 달라졌어요. 검색에 노출되기 시작하면서 방문자도 꾸준히 늘고, 블로그가 살아나는 느낌이랄까요? 그래서 오늘은 제가 직접 해보고 효과를 본 방법들, 구글 서치콘솔 등록부터 사이트맵과 RSS 피드 설정까지 낱낱이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구글 서치콘솔 등록 방법

구글 서치콘솔은 말 그대로 '내 웹사이트를 구글 검색에 어떻게 보여줄지'를 관리할 수 있는 도구예요. 먼저 Google Search Console에 접속해서 '속성 추가'를 클릭한 후, 도메인 전체를 등록하거나 URL 접두어 방식으로 등록합니다. 개인 블로그라면 대부분 후자를 많이 사용하죠. 그런 다음 HTML 파일 업로드, HTML 태그 삽입, Google Analytics 등 다양한 인증 방법 중에서 가장 편한 걸 선택해서 등록을 완료하면 돼요.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한 번만 해두면 이후 관리는 정말 편해집니다.

사이트맵 제출하는 방법

사이트맵은 구글에게 "내 블로그에 이런 페이지들이 있어요!" 하고 알려주는 역할을 해요. 대부분 워드프레스나 티스토리, 또는 블로거 같은 플랫폼은 자동으로 사이트맵을 생성해주죠. 대표적인 예로는 sitemap.xml 이라는 파일입니다. 이걸 구글 서치콘솔에 제출해주면 끝이에요.

단계 설명
1 구글 서치콘솔 접속 후 속성 선택
2 왼쪽 메뉴에서 ‘사이트맵’ 클릭
3 사이트맵 URL 입력 (예: sitemap.xml)
4 ‘제출’ 버튼 클릭

RSS 피드 등록하기

RSS는 자동으로 글이 업데이트될 때 알려주는 피드입니다. 검색봇이나 다른 시스템이 내 새 글을 바로 인식하게 해주죠. 특히 구글 뉴스 등록이나 피드 기반 큐레이션 사이트에 유용하죠.

  • 블로그 플랫폼에 따라 기본 RSS 주소 확인 (예: 티스토리는 https://블로그주소/rss)
  • 구글 서치콘솔에서 RSS 피드도 추가 제출 가능
  • Feedly, Flipboard 등 큐레이션 서비스에 등록해 유입 채널 확보

 

크롤링 상태 확인하는 팁

내 블로그가 구글에 잘 등록되었는지 확인하려면 크롤링 상태를 점검해야 해요. 서치콘솔의 ‘색인 > 색인 현황’ 메뉴에 들어가 보면, 구글이 어떤 페이지를 색인했는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답니다. 만약 누락된 페이지가 있다면 ‘색인 생성 요청’을 따로 해줄 수도 있고요. 저는 이걸 통해 누락된 글들을 다시 살려냈어요. 정말 유용해요.

RSS와 사이트맵의 차이점

둘 다 블로그 정보를 외부로 알리는 역할을 하지만, 사용 목적은 조금 달라요. 아래 표를 보면 확실하게 감이 오실 거예요.

구분 사이트맵 RSS 피드
목적 전체 페이지 구조 제공 최신 글 업데이트 알림
형식 XML XML / Atom
사용처 검색엔진 큐레이션 서비스, 뉴스봇

초보자가 자주 하는 실수 방지법

처음 등록할 때 너무 자주 하는 실수들이 있어요. 저도 다 해봤고요... 다음 항목들만 피하면 큰 문제 없이 등록할 수 있어요.

  1. robots.txt에 크롤링 막아놓은 경우
  2. 사이트맵 주소에 오타가 있는 경우
  3. 속성 등록은 했지만 인증 안 한 경우
  4. RSS 피드 주소가 비공개로 설정된 경우

 

Q 구글 서치콘솔 등록은 무료인가요?

네, 구글 서치콘솔은 완전히 무료입니다. 계정만 있으면 누구나 사용할 수 있어요.

Q 사이트맵 제출은 한 번만 하면 되나요?

기본적으로 한 번 제출하면 자동으로 갱신되지만, 구조가 크게 바뀌었다면 재제출하는 것이 좋아요.

Q RSS 피드는 어디에 등록하나요?

구글 서치콘솔 외에도 Feedly, Flipboard, Bloglovin 같은 큐레이션 플랫폼에 등록 가능합니다.

Q 색인 요청을 자주 해도 괜찮을까요?

자주 요청해도 되지만, 하루에 너무 많은 요청은 제한될 수 있어요. 중요한 글 위주로 요청하는 게 좋아요.

Q 검색 결과에 노출까지 얼마나 걸리나요?

빠르면 몇 시간 내, 늦으면 며칠 걸리기도 해요. 주기적인 색인 요청과 사이트맵 관리가 중요합니다.

Q 블로그마다 사이트맵 URL이 다른가요?

네, 블로그 플랫폼에 따라 다릅니다. 워드프레스는 보통 /sitemap.xml, 티스토리는 /rss가 기본이죠.

 

지금까지 구글 서치콘솔 등록부터 사이트맵, RSS 피드 설정까지 함께 알아봤어요. 막막했던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블로그 운영은 하루아침에 결과가 나오지 않지만, 이렇게 하나씩 차근차근 해두면 분명히 의미 있는 변화가 찾아와요. 혹시 설정하면서 막히는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제가 아는 한도 내에서 도와드릴게요! 우리 블로그 성장, 함께 응원해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