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하드웨어126

MPO케이블, 데이터센터 고밀도 패치와 확장성까지 정리 랙 앞에서 트렁크 라벨을 한참 들여다보신 적 있죠. 처음엔 단자 수와 방향만 맞추면 끝일 줄 알았는데, 실제 현장은 여분 길이, 패널 레이아웃, 커넥터 성향까지 변수가 많아요. 설치는 끝났는데 손이 자꾸 케이블을 더듬게 되면 운영팀도 마음이 불안해지더라고요. 막히는 포인트만 정확히 짚어도 구축 속도와 장애 대응이 확 달라져요. 오늘은 현장에서 반복되던 실수들을 기준으로, 선택과 배선, 테스트 순서를 차분히 정리해볼게요.🧩 폴라리티 이해가 절반, A/B/C를 헷갈리지 말아요처음 맞닥뜨리는 함정이 결선 방식이에요. A·B·C 타입이 혼용되면 통신이 되다 말다 하는 애매한 증상이 나와요. 현장에서는 패치패널과 모듈, 트렁크의 조합이 제각각이라 시작 전에 표를 그려두는 게 가장 안전해요. 이때 트렁크 쪽엔 반.. 2025. 10. 26.
I76700K, 중고 재활용과 오버클록 안정화 포인트 예전에 조립했던 PC를 꺼내보면 아직 쓸만한데 애매하게 느려진 경우가 있어요. 인터넷과 문서 작업은 괜찮은데, 게임이나 간단한 편집에선 끊김이 슬쩍 보이죠. 그렇다고 새로 전부 바꾸자니 비용이 부담스럽고, 어느 부분부터 손대야 할지 막막할 수밖에 없어요. 이럴 땐 전력 세팅, 쿨링 상태, 저장장치만 깔끔하게 정리해도 체감이 확 달라지더라고요. 오늘은 오래된 메인스트림 시스템을 다시 꿀떡 같게 만드는 현실적인 체크 포인트들을 모아봤어요.🧩 보드와 메모리 조합, 기본기를 먼저 다져요세대가 달라도 핵심은 안정화예요. Z170 보드라면 바이오스를 최신으로 올려 마이크로코드 이슈를 줄이고, 메모리는 16GB 듀얼 채널부터 맞추는 게 좋아요. 여기서 I76700K 조합은 DDR4 2666 전후에서 호흡이 좋아요... 2025. 10. 25.
27UL550, 4K 활용·색상 세팅과 책상 배치까지 정리 처음 4K 모니터를 책상에 올리면 화면이 또렷한 만큼 글자가 너무 작게 느껴질 때가 있어요. 윈도우 배율을 올렸더니 앱마다 크기가 제멋대로 보이고, 색감도 내 눈엔 조금씩 달라 보여서 손이 자꾸 설정으로 가더라고요. 사실 몇 가지 기준만 잡아두면 해상도 이점은 그대로 살리면서 사용 피로는 확 줄어들어요. 밝기와 색온도, 스탠드 높이만 제대로 맞춰도 하루가 훨씬 편해져요. 지금부터 실사용 기준으로 꼭 챙기면 좋은 포인트들을 깔끔하게 모아볼게요.🧩 배율부터 정리, 또렷함과 가독성의 균형 찾기노트북과 함께 쓰면 배율이 서로 달라 불편해지기 쉬워요. 윈도우에선 고정 배율 하나를 정하고, 앱별 오버라이드를 최소화하면 깔끔해요. 150% 전후에서 브라우저와 문서 가독성을 먼저 맞춘 뒤, 그래픽 툴만 필요 시 개별.. 2025. 10. 24.
비접촉검전기, 전기안전 점검과 오작동 줄이는 실전 포인트 집이나 사무실에서 스위치를 갈거나 조명을 교체할 때, 전기가 통하는지 애매하면 손이 먼저 망설여지죠. 차단기를 내렸는데도 어딘가에서 신호가 남아 있는 것 같으면 불안하고요. 사실 기본 절차만 지켜도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는데, 급히 작업하다 보면 순서를 자꾸 건너뛰게 되더라고요. 오늘은 간단한 점검 루틴과 현장에서 자주 헷갈리는 부분을 모아 정리해볼게요. 손에 익으면 준비부터 마무리까지 훨씬 차분하게 끝나요.🔌 먼저 확인, 신호가 의미하는 걸 정확히 알아요작업 전에는 테스트 기준점을 하나 정해요. 분전반에서 해당 회로 차단기를 내리고, 콘센트나 단자에서 기준점 측정을 해두면 좋아요. 이때 비접촉검전기를 가까이 대면 소리나 LED로 통전 여부를 알려주는데, 강한 전자파 근처에선 오탐이 날 수 있어요. .. 2025. 10. 23.
12V2A, 어댑터 선택·극성·잭 규격까지 한 번에 정리 스피커나 공유기, 소형 모니터 전원을 찾다 보면 규격이 비슷비슷해서 헷갈리기 쉬워요. 전압만 맞추면 될 줄 알았는데, 잭 지름이나 극성, 출력 여유까지 신경 쓸 게 생각보다 많더라고요. 특히 호환 어댑터를 급하게 꽂았다가 퓨즈를 날리는 실수도 종종 봤어요. 다행히 몇 가지 기준만 기억하면 고장 걱정 없이 안전하게 연결할 수 있어요. 지금부터 현장에서 자주 틀리는 포인트를 기준으로, 순서대로 체크할 수 있게 깔끔하게 정리해볼게요.🔌 첫걸음은 전압 고정, 그다음이 전류 여유예요기기 뒷면 라벨에서 출력 전압을 먼저 확인해요. 여기서 12V2A 표기를 봤다면 전압은 12V로 꼭 일치시켜야 하고, 전류는 2A 이상이면 여유가 있어도 괜찮아요. 여유가 큰 어댑터는 필요 전류만큼만 끌어다 쓰기 때문에 과전류로 바로.. 2025. 10.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