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750, 가상화·NVMe·전력 세팅 실전 가이드
처음 서버를 들이려 하면 뭘 먼저 정해야 할지 막막해지죠. 코어 수와 램 용량, 디스크 베이와 네트워크 포트, 전원 이중화 같은 단어가 한꺼번에 튀어나오면 누구라도 고개가 살짝 뒤로 젖어져요. 여기에 가상화, 컨테이너, 스냅샷, 모니터링 같은 운영 개념까지 붙으면 모르면 헷갈릴 수밖에 없어요. 그런데 순서를 딱 잡고 하나씩만 체크하면 생각보다 간단하게 해결되더라고요. 우리 팀이 꼭 돌려야 할 서비스 목록을 먼저 쓰고, 장애를 버틸 최소한의 가용성을 정하고, 그다음 용량과 예산을 맞추면 그림이 또렷해져요. 오늘은 그런 흐름에 맞춰 하드웨어 선택 기준, 스토리지·네트워크 설계, 가상화 운영 습관, 백업과 보안, 설치 당일 체크리스트까지 실전에서 바로 쓰는 팁만 쭉 이어서 정리할게요. 읽고 나면 괜히 복잡해 ..
2025. 9. 3.
POE스위치허브, 전원예산·설치·속도 튜닝 가이드
IP 카메라나 무선 AP, 인터폰, 소형 컨트롤러까지 선 하나로 전원과 데이터를 동시에 해결하면 진짜 속이 편해요. 어댑터 전원선 따로, 랜선 따로 끌지 않아도 되고, 천장 위에서 어댑터가 떨어질까 걱정할 일도 없죠. 다만 막상 쓰다 보면 밝은 낮엔 잘 되던 카메라가 밤에만 꺼졌다 켜진다든지, 회의실 AP가 사람 많을 때만 느려지는 식의 애매한 문제가 생겨요. 대부분은 전원 예산 계산이 헐겁거나, 케이블 길이와 규격, 포트 클래스 매칭, 업링크 병목 같은 기본기에서 갈라지더라고요. 겉으로 보기엔 비슷한 스위치라도 내부 전원 용량, 포트별 제한, 관리 기능에서 성격이 완전히 달라요. 오늘은 처음 고를 때의 기준부터 배선·설치, 속도 튜닝, 보안·관리, 장애 대응과 확장까지 ‘현장에서 바로 쓰는 순서’대로 ..
2025. 8. 30.